최근 대한민국에 혼란을 증가시키는 사회적 소수자와 대한민국의 극우화 현상 > 토론광장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토론광장

최근 대한민국에 혼란을 증가시키는 사회적 소수자와 대한민국의 극우화 현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운영자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5-10-27 21:09

본문

 사회적 소수자와 대한민국의 극우화 현상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극우 이데올로기는 종종 기성 질서와 '정상성'을 위협한다고 인식되는 특정 집단, 즉 사회적 소수자를 '타자화'하고 배제함으로써 세력을 결집하고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의 극우화 현상과 이로 인해 사회적 소수자가 겪는 문제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극우화의 특징과 소수자

전통적인 보수주의가 점진적 변화와 안정을 추구한다면, 현대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극우화 현상은 종종 기존 질서에 대한 급진적인 반발과 특정 집단에 대한 강한 혐오를 동반합니다.


강한 민족주의와 배타성: '단일민족' 신화나 '순수성'을 강조하며, 이주민, 난민, 다문화 가정 등을 외부 위협으로 규정합니다.


반(反)페미니즘과 성소수자 혐오: 극우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젠더 이슈에 대한 강한 반발입니다. 이들은 페미니즘을 '남성 혐오'로, 성소수자를 '비정상' 또는 '사회 혼란'의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권위주의적 질서 옹호: 과거의 권위주의 통치(예: 박정희 시대)를 미화하거나, 사회 질서를 위해 소수자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다는 인식을 보입니다.


온라인 중심의 결집: 유튜브,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혐오 발언과 가짜뉴스를 유포하며 결속력을 다집니다.


극우화가 소수자를 표적하는 방식

극우 세력은 사회적 소수자를 자신들의 이념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지지자를 동원하는 수단으로 활용합니다.


1. '희생양' 삼기 (Scapegoating)

경제적 불황, 청년 실업, 낮은 출산율, 강력 범죄 등 복잡한 사회 문제의 원인을 구조적 모순이 아닌 특정 소수자 집단 탓으로 돌립니다.


예시: "외국인 노동자가 일자리를 빼앗는다", "페미니즘 때문에 남녀 갈등이 생기고 출산율이 낮아진다", "동성애가 에이즈를 확산시킨다"와 같은 논리입니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특정 집단에 대한 적대감을 부추깁니다.


2. '정상성'의 규정과 '타자'의 배제

극우 이데올로기는 '정상적인 국민'이라는 매우 협소한 기준(예: 이성애자, 비장애인, 남성, 내국인)을 설정합니다. 이 기준에서 벗어나는 **사회적 소수자는 '비정상' 또는 '위협'**으로 간주됩니다.


성소수자: 퀴어 축제 반대 운동이나 '전통적 가족 가치' 수호 주장을 통해 성소수자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거나 공적인 영역에서 배제하려 합니다.


이주민 및 난민: '불법 체류자=범죄자'라는 등식을 내세우거나, 이슬람 혐오(이슬라모포비아)를 조장하며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거부합니다.


3. 공포와 위기감 조장

극우 세력은 소수자가 사회의 도덕적 기강을 해치거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식의 공포 마케팅을 활용합니다.


차별금지법 반대 논리: "차별금지법이 통과되면 동성애가 만연하고, 건강한 가정이 파괴되며, 결국 국가가 망한다"는 식의 비약적인 논리로 위기감을 조장합니다. 이는 기성세대의 불안감을 자극하여 소수자 인권 증진을 저지하는 동력이 됩니다.


극우화의 배경과 소수자 문제의 심화

이러한 극우화 현상이 심화되는 배경에는 복합적인 사회·경제적 요인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불평등과 박탈감: IMF 외환 위기 이후 심화된 양극화와 치열한 생존 경쟁 속에서 청년층을 비롯한 많은 이들이 느끼는 경제적 박탈감과 불안이 큽니다. 이러한 불만이 사회 구조가 아닌, 자신들보다 더 약한 소수자 집단을 향한 혐오로 표출되기 쉽습니다.


사회 변화에 대한 반동(Backlash): 지난 수십 년간 여성 인권, 장애인 인권, 성소수자 인권 등 소수자 권리가 신장되어 온 것에 대한 반동 심리가 작용합니다. 특히 일부 남성들은 페미니즘의 대두로 자신들이 '역차별'을 당한다고 느끼며, 이는 강력한 반페미니즘 정서로 이어졌습니다.


정치권의 방임과 이용: 정치권이 이러한 혐오 현상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보다, 때로는 특정 집단의 표를 얻기 위해 혐오를 방관하거나 조장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결론: 민주주의의 위기와 사회 통합의 과제

대한민국의 극우화 현상과 이에 따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공격은 단순한 의견 대립이 아니라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민주주의의 근간인 똘레랑스(관용)와 인권의 가치를 훼손하는 심각한 위협입니다.


극우 세력은 소수자를 '적'으로 규정함으로써 내부 결속을 다지지만, 이는 결국 사회 전체의 갈등 비용을 증가시키고 공동체를 병들게 합니다. 사회적 소수자를 포용하고 차별에 맞서는 것은 이들만을 위한 시혜가 아니라, 한국 사회가 더 건강하고 성숙한 민주주의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시대적 과제입니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건 1 페이지
  • RSS
토론광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열람중 운영자 11 0 10-27
1 최고관리자 7 0 10-23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9
어제
94
최대
95
전체
57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